본문 바로가기
음식리뷰

[일본 여행선물 추천] 일본 사케 닷사이23 솔직후기

by Ssotory 2023. 7. 16.

목차

    일본여행에서 가장 가성비 좋고 지인들에게 선물하기 좋은 추천 1순위는 바로 일본 사케 닷사이23이며, 왜 닷사이23이 일본 여행선물로서 추천드리는지 자세히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사케추천 닷사이23

     

    닷사이23은 일본 사케를 즐겨드시는 사람들이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만한 술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접하기 쉽고 가장 유명한 사케인 간바레 오또상 같은 경우 마트에서 2만 원 정도면 구할 수 있고, 어지간한 이자카야 등에서도 기본으로 팔기 때문에 유명합니다.

     

    하지만, 닷사이23은 일본 사케를 즐겨드시는 사람들을 들어 본 적 있어도, 사케를 자주 찾지 않는 사람들에게는 익숙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한 이유는 닷사이23이 한국 이자카야 등의 술집에서 20~30만 원 등 엄청난 가격에 거래되는 비싼 술이기 때문입니다. 최근에 일본여행에서 많이들 사 오는 덕분에 가격이 내려가고 있으나, 아직도 고급술임에는 틀림없습니다.

     

    그러한, 닷사이23의 가격이 일본 현지 면세가로 얼마냐? 바로 5,000엔 한국돈으로 약 5만 원이면 이 고급술을 사 올 수 있습니다. 그럼 닷사이23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닷사이 23이란?

     

    닷사이23은 정미율을 높여서 쌀을 23%만 남겨 빚어낸 술로서 굉장히 공을 들여 만든 고급술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닷사이39도 있으며, 닷사이39는 쌀의 39%만 남겼다고 보시면 되어 닷사이23이 훨씬 고급 사케라고 보시면 됩니다.

     

    우선 닷사이23의 외관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닷사이23 케이스 외관사진
    닷사이23 나무케이스 외관

    닷사이23은 멋지게 한자가 새겨진 나무케이스에 들어 있습니다. 일단, 술 한 병이 이런 케이스에 담겨 있는 것부터 고급스러움을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닷사이23 내부사진 닷사이23 내부 설명사진
    닷사이23 케이스 내부사진

    나무 케이스를 열어보면 간단한 설명이 적힌 종이와 함께 닷사이23이라고 적힌 멋지게 포장된 술이 한병 들어 있습니다. 나무 케이스 안에 공간을 나누어 술병의 목 부분을 지탱해줘서 병이 흔들리지 않고 보관하기 좋게 잘 포장이 되어 있습니다.

     

    닷사이23 외관사진닷사이23 택 사진
    닷사이23 외관사진

     

    닷사이23 병의 외관사진입니다. 외관 디자인부터 고급스러움이 보입니다. 닷사이23이라고 가운데 영어로 DASSAI23 이렇게 적혀 있습니다. 닷사이39의 경우 DASSAI39라고 적혀 있습니다. 숫자가 높은 게 더 고급술 아니냐, 23이 알코올 23도를 뜻하는 것이냐 하는데 앞서 설명드렸던 것처럼 그런 뜻이 아닙니다.

     

    쌀의 23%를 남겼는지, 39%를 남겼는지에 따라 명칭이 다른 것이며, 그만큼 쌀을 적게 남긴 23이 더욱 고급 사케입니다.

     

    닷사이23 설명사진
    닷사이23 설명

    오른쪽 측면에 닷사이23의 간단한 설명이 적혀있는 사진입니다. 닷사이23은 사케종류로서 원료는 쌀 23%입니다. 그리고 알코올 도수는 16도입니다. 우리가 가장 많이 마시는 소주인 참이슬 후레시의 도수는 16.5도 입니다. 쉽게 말해 우리가 일반적으로 마시는 소주의 알코올 도수정도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저는 금번 일본여행에서 사 왔기 때문에 생산연도가 23.5월이었습니다.

     

    3. 닷사이23 개봉 

     

    제가 사 온 닷사이23 개봉한 모습을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고급 사케인 만큼 아끼다가 기념일에 열게 되었습니다. 우선, 닷사이23의 뚜껑 부분에 감싸져 있는 보라색 포장지를 살살 벗겨줍니다.

     

    닷사이23 뚜껑모습
    닷사이23 뚜껑모습

     그럼 익숙하지 않은 뚜껑의 모습이 눈에 들어옵니다. 당황하지 마시고 친절하게 설명되어 있는 것처럼 화살표의 방향대로 저 부분을 잡고 옆으로 돌려줍니다. 그럼 정말 쉽게 까지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닷사이23 뚜껑 여는 사진
    닷사이23 뚜껑 여는 사진

    화살표를 살짝 밀어주면 저 위에 선을 따라 자연스럽게 까집니다. 저렇게 위로 벌어졌다고 잘못 까진 건가 오해하시는 경우가 있는데 저렇게 까는 게 맞습니다. 진정하시고 쭉 밀어주시면 됩니다. 혹시, 이렇게 까져서 다시는 닫지 못하고 한번 열면 한 번에 다 마셔야 하나 고민하실 수도 있는데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안에 내부 뚜껑이 또 하나 더 있습니다.

     

    닷사이23 내부 뚜껑 사진닷시이23 내부뚜껑 상단사진
    닷사이23 내부뚜껑 사진

    자연스럽게 뚜껑을 까주면 뿅 하고 내부뚜껑의 모습이 나옵니다. 내부 뚜껑의 모습은 마치 와인의 코르크마개 같은 느낌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 내부뚜껑을 열기 위해서는 옆으로 돌려서 개봉하는 것이 아닌 와인의 코르크 마개처럼 위로 뽕 하고 잡아당겨 주셔야 합니다.

     

    코르크 마개처럼 꽉 닫혀서 손으로 못 뺄 정도는 아니며 뚜껑과 아래 공간 사이에 손톱을 넣고 지렛대의 힘으로 밀어주셔도 가능합니다. 그렇게 마개를 열어주시면

     

    닷사이23 내부마개 사진
    내부마개 사진

    이렇게, 내부마개가 코르크마개처럼 분리되고, 닷사이23이 열리게 됩니다.

     

    4.닷사이23 맛 리뷰

     

    닷사이23을 개봉했으니, 맛에 대한 솔직리뷰를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향입니다. 한잔 따라서 향을 먼저 맡아보면, 꽃 향과 과일향이 납니다. 도수는 우리나라 소주와 비슷한데 소주 같은 향이 아니라 향긋한 그야말로 정말 향이 납니다.

     

    맛은 목 넘김이 술을 마시는 것보단 오히려 물을 마시는 것처럼 엄청 부드럽게 느껴졌습니다. 마실때는 파인애플향이 나면서 소주와 비슷한 도수임에도 전혀 거부감 없이 깔끔하게 마실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생각보다 쉽게 취할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합니다.

     

    저는 닷사이23을 시원하게 마셨습니다. 사케는 따뜻하게 마시기도 하고 시원하게 마시기도 합니다. 특히 닷사이23은 따뜻하게 마시던, 시원하게 마시던 둘 다 맛있기 때문에 같이 곁들이는 음식에 따라서 취향껏 고르시면 됩니다. 저는 숙성회를 곁들여 마셨으며, 시원하게 마셨을 때 더욱 목 넘김이 부드럽고 시원하게 향을 느낄 수가 있어서 더욱 맛있었던 것 같습니다.

     

    닷사이23 한 잔
    닷사이23 한 잔

     

    5. 결론

     

    지금까지 닷사이23에 대해서 설명하고 리뷰해 드렸습니다. 앞서 보신 사진에서처럼 닷사이23은 고급스러움을 보여주고 있으며, 실제로도 고급 사케로 일본 현지에서도 굉장히 인기가 많은 술 입니다. 또한, 일본 현지가격과 한국에서의 가격차이가 큰 만큼 일본여행에서 사오시는 선물로 BEST 1 이라고 생각하여, 일본 여행선물로 추천드립니다.

     

    술을 즐겨드시는 분들이 아니더라도 닷사이23은 일식과 함께 곁들이는 사케로 한 번쯤 마셔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렇게 해서 일본여행에서 돌아올 때 선물로 추천드리는 BEST 1을 알려드렸습니다.

     


    혹시, 제가 일본여행에서 사 온 선물인, 이치란 컵라면과 페양구 야끼소바 컵라면 후기가 궁금하다면 아래 포스팅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본라멘] 일본여행 필수 이치란 라멘, 컵라면 솔직후기

    이치란 라멘은 제가 일본여행을 가면 꼭 빠지지 않고 방문하는 곳입니다. 일본 현지에서 외국인뿐만 아니라 일본현지 사람들도 줄 서서 먹는 라멘집입니다. 그런 이치란에서 컵라멘을 판매하고

    ssotory82.tistory.com

     

     

    [일본 야끼소바 컵라면] 유명한 페양구 야끼소바 컵라면 솔직리뷰

    일본 편의점에서 야끼소바 컵라면으로 유명한 "페양구 야끼소바 컵라면"을 먹어보았고, 솔직한 리뷰를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페양구 야끼소바 컵라면 페양구 야끼소바 컵라면은 국내에서

    ssotory82.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