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금융을 다루는 공기업을 일컬어 금융공기업으로 얘기합니다. 공식적인 금융형 준정부기관, 금융공기업은 어떤 것이 있으며(A매치, B매치) 연봉 등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금융공기업이란?
공공기관, 공기업에 취업하고 싶은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금융공기업을 들어보았을 것입니다. 금융공기업은 단순히 금융 관련 업무를 하는 공기업, 공공기관이구나라고 생각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을 것입니다. 정확히 금융공기업에 해당하는 기관이 어딘지 규정해 놓은 곳이 없기 때문입니다. 특히나 금융공기업은 전체 공공기관을 통틀어서 구직자에게 가장 인기 있는 기관인 만큼 구직자마다 해석하는 기준이 다릅니다. 그래서 명확하게 금융공기업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공식적으로 기획재정부에서는 금융공기업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각종 회의체, 위원회 등에서 필요에 의해 금융 관련 공공기관, 정책금융기관, 보증기관 등으로 표현하긴 하지만 기획재정부에서 공식적인 지침에 의한 명칭은 '금융형 준정부기관' 입니다.
2. 그렇다면 A매치, B매치란?
금융공기업 취업을 준비하는 사람들에게 A매치, B매치로 구분 짓는 것은 익숙할 것입니다. 이는 일부 기관들을 묶어 통합채용하기 위해 A그룹, B그룹으로 나눈 것이지 해당기관의 서열, 연봉, 근무환경, 사회적 지위를 기준으로 나눈 것은 아닙니다. 그렇기 때문에 때때로 통합채용 시 A매치 기간에 채용을 하는 기관, B매치 기간에 채용을 하는 기관이 섞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기술보증기금은 2020년에는 B매치 일정에 채용을 했지만, 2021년에는 A매치 일정에 채용을 했습니다. 또한, KDB산업은행의 경우 2020년에는 A매치 일정에 채용을 했지만, 2021년에는 B매치 일정에 채용을 했습니다. 더욱이 최근에는 KDB산업은행의 경우 독자 채용을 하는 등 합동채용을 위한 구분은 크게 의미가 없어졌습니다. 그러나, 아직 금융공기업의 대부분을 취업준비생들은 A매치, B매치로 구분 짓고 더 좋은 기업이라 생각하는 기관을 A매치라고 구분하고 있습니다. 아래 표는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A매치 기관과 B매치 기관을 작성하였습니다.
A매치 기관 | B매치 기관 |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KDB산업은행, 한국수출입은행, 한국거래소, 한국예탁결제원, 예금보험공사, 한국무역보험공사 등 | 기술보증기금, 신용보증기금, 한국주택금융공사, 주택도시보증공사, 한국투자공사, 금융결제원 등 |
위 표를 보면 알겠지만,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등은 공기업, 공공기관이 아닙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실상 금융공기업이라는 말은 틀린 말입니다.
3. 기재부 공식지정 '금융형 준정부기관'이란?
앞서 작성했던 것처럼, 기획재정부에서는 금융공기업으로 기관들을 분류하고 있지 않으며 공식적으로는 '금융형 준정부기관'을 지정하고 있습니다. 기획재정부 「공기업·준정부기관 임원 보수지침」의 제11조(금융형 준정부기관 기관장의 기본연봉)에 따르면, 9개의 금융형 준정부기관을 지정하고 있으며 해당기관의 기관장 연봉은 해당연도 차관 연봉의 1.5배를 상한으로 할 수 있게 지정하였습니다. 이는 일반 공공기관 기관장이 차관 연봉의 1배 또는 공기업 기관장이 차관 연봉의 1.1배 대비 한참 높은 수치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금융형 공공기관은 금융 업무를 하는 만큼 기관장 연봉에 대해 훨씬 더 큰 혜택을 주는 것을 알 수 있고 이러한 기관들을 9개로 명확하게 규정짓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9개 공공기관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구분 | 기관명 |
1 | 신용보증기금 |
2 | 기술보증기금 |
3 | 예금보험공사 |
4 | 한국무역보험공사 |
5 | 한국자산관리공사 |
6 | 한국주택금융공사 |
7 | 한국장학재단 |
8 |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
9 | 서민금융진흥원 |
4. 우리가 아는 금융공기업과 차이가 있는 이유?
금융형 준정부기관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①공공기관으로 지정되어 있는 기관이어야 하며, ②공기업, 준정부기관에 포함되어야 합니다. 예전 글에서 설명했던 바와 같이, 정부 지정에 따른 공기업, 준정부기관이 아닌 공공기관은 기타 공공기관에 해당되며, 기타공공기관 중 금융업무를 하는 기관은 KDB산업은행, 한국수출입은행 등이 있으며, 공공기관으로 지정되지 않은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 등도 금융공기업으로 통칭하고 있으나 명확히는 공기업 또는 공공기관이 아니므로 맞지 않는 말입니다.
하지만, 채용을 위해서 편의상 금융공기업을 구분 짓는 것이 잘못된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금융공기업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자기소개서 또는 면접에서 활용할 경우 틀린 답변이 될 수 있으니, 기획재정부에서 명확하게 규정하고 있는 '금융형 준정부기관'에 대해서도 알아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공기업, 공공기관의 종류에 분류기준에 대해서 궁금하시면 아래 글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2023.04.30 - [경제공부] - 공공기관의 종류와 분류에 관해서 - 공기업, 준정부기관, 기타 공공기관
공공기관의 종류와 분류에 관해서 - 공기업, 준정부기관, 기타공공기관
공공기관(공기업, 준정부기관, 기타공공기관)의 종류와 분류에 관해서 소개하려고 합니다. 공공기관은 중앙정부부처 산하기관인 중앙 공공기관 그리고 지자체 산하 기관들인 지자체 공공기관
ssotory82.tistory.com
5. 결론
금융 관련 업무를 하는 공공의 성격을 지닌 기관들을 일컬어 금융공기업이라고 합니다. 기획재정부에서는 명확하게 이러한 기관들 중 공기업, 준정부기관에 해당하는 기관들을 묶어서 '금융형 준정부기관'이라고 9개 기관을 지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관들에 대해서 오늘은 알아보았습니다.
공공기관의 취업을 목표로 하는 취업준비생들에게 금융공기업은 굉장히 인기가 많은 기관들입니다. 그 기관들은 모두 각자의 목적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취업 준비를 위해서는 금융공기업으로 묶어서 준비하기보다 본인의 강점에 잘 맞는 기관을 지정하여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