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우리가 어떤 단어에 대해서 아무런 거리낌 없이 얘기를 하다가 갑자기 그 단어가 어색해지면서 의미가 잘 와닿지 않고 단순 그 단어의 형태만 머릿속에 남게되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 경우를 게슈탈트 붕괴현상이라고 합니다.
과연 게슈탈트 붕괴현상은 무엇이며, 어디서부터 시작됐고, 어떤 형태인지 예시와 함께 자세히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게슈탈트 붕괴현상의 시작
게슈탈트 붕괴현상이라는 말이 어디서부터 시작하고, 어떤 이론에서 발전하게 되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게슈탈트 심리학의 기원
게슈탈트 붕괴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게슈탈트 심리학의 기원을 살펴보아야합니다. 게슈탈트 심리학은 20세기 초 독일에서 시작된 심리학의 한 분야인데요, 인간이 사물을 인식하는 방법을 연구한 분야입니다.
주요 학자로는 막스베르트하이머, 쿠르트 코프카, 볼프강 쾰러 등이 있습니다.
게슈탈트 심리학의 핵심 개념은 '전체는 부분의 합보다 크다'라는 원리입니다. 우리가 보통 개별요소를 각각 따로따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인 패턴이나 구조를 통해서 인식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게슈탈트 붕괴현상의 발견
게슈탈트 붕괴현상은 이러한 심리학적 배경에서 나온 개념으로, 이 현상은 특정한 단어나 이미지가 반복적으로 노출될 때 그 의미가 사라지고 형태만 인식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게슈탈트 심리학자들은 이러한 것이 인간의 인지 과정 중에서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합니다.
게슈탈트 붕괴현상의 의미
게슈탈트 붕괴현상은 위에서 말씀 드렸던 것처럼, 단어 또는 이미지가 지속적으로 인식될때 그 의미를 느끼지 못하고 단순한 형태만 인식되는 현상입니다. 이때, 시각적, 청각적인 단순 요소로 인식 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한 단어를 여러번 소리내어 읽거나 반복해서 보게되면 그 단어의 의미가 사라지고 단순하게 그 소리와 글자의 조합만 인식되는 경우입니다.
이 현상은 우리의 뇌가 반복적인 자극에 대한 민감도가 떨어져서 생기게 됩니다. 처음에는 특정 단어나 이미지가 의미 있는 정보로 인식되지만, 반복될수록 뇌는 단순한 자극으로만 처리하게 되고 우리는 인지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그렇게 반응하는 것입니다.
게슈탈트 붕괴현상 사례
이번에는 게슈탈트 붕괴현상의 사례에 대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일상생활 속 사례
일상속에서 게슈탈트 붕괴현상은 단어, 이미지, 노래가사 등 여러가지 인식요소에서 모두 경험할 수 있습니다.
1. 단어 반복 읽기 : 사과라는 단어를 반복해서 소리내어 읽어보면 어느 순간 우리가 생각하는 과일 사과에서 벗어나 "사과"라는 두 글자의 형태만 인식되게 됩니다.
2. 이미지 반복 보기 : 동일한 이미지를 계속해서 보게되면 처음에 그 이미지가 의미있는 사물로 인식되지만, 반복 될 수록 그 이미지의 형태만 인식되게 됩니다.
3. 노래가사 반복 듣기 : 같은 노래가사를 반복해서 듣게 되면 처음엔 가사의 감정과 의미가 이해가 되지만 반복하게 되면 단순한 소리 및 음정의 형태만 받아들여지게 됩니다.
결론
게슈탈트 붕괴현상은 직접적으로 많이들 경험해 보셨을 겁니다. 단순하게 어느날 익숙하던 글자 또는 단어의 의미가 어색해지고 그 단어, 글자 형태만 인식되는 경우 어색하거나 잘못되었다고 느낄 수 있지만, 이는 지극히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우리의 뇌가 인식의 과정에서 좀 더 효율적으로 뇌를 활용하기 위한 인식과정으로 심리학에서는 게슈탈트 심리학이라고 칭하고 있습니다.
게슈탈트 붕괴현상, 게슈탈트 심리학 등을 활용하여 우리의 인지과정들을 더욱 깊이 이해하고 연구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외에도 다양한 정보들을 공유하고 있으니, 관심있으시면 다른 포스팅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댓글